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회전근개파열] 반복되는 어깨통증, 회전근개손상 (원인,증상,치료,예방)

by sara_T 2025. 9. 14.

회전근개란, <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4개의 근육 및 힘줄로 이루어져 있는 것> 입니다.

 

운동을 하다 보면 반복적으로 회전근개가 손상 (파열)되고 재발도 쉽습니다.

통증 유발 자세는, 팔을 옆으로 나란히 올리는 자세를 할 때 아프며, 그 외에 등 긁을 때도 불편함을 느낍니다.

(전형적인 회전근개 손상의 증상)

 

"저도 파열 되어봐서..ㅠㅡㅠ  알고있습니다"   ⤵

 

사라샘의 회전근개통증 / 회전근개파열 / 회전근개손상증상

 

 

 

 

회전근개 손상이란 아주 쉽게 말해 팔 올리는 어깨 힘줄이 상한 것입니다.

 

원래 나이가 들면서 점점 닳는 부위인데, 외상이나 운동 등 과사용으로 손상되어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뭔가 힘을 쓰거나 반복된 일(동작)을  많이 한 후, 어깨가 아프다면 거의 90%가 회전근개 손상에 해당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또한 (필라테스 or 헬스) 등,  운동을 하다가 어깨를 다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어깨통증이 있을  시. 예상할 수 있는 근질환 인 _ 회전근개 질환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회전근개 손상,(회전 근개파열) 원인 / 증상/ 치료법 /예방)

 

 


 

 

 

 

 

◈ 회전근개 _정의

어깨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근육 및 힘줄을 말하며 견갑하근, 극상근,.극하근, 소원근 4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근육들은 하나의 기관처럼 움직이면서,

어깨를 회전시키고, 어깨 움직임에 안정성을 부여하는 중요한역할을합니다.

 

회전근개와 같은 관절 근육 조직의 손상은, 주로 신체 기능이 약해지는 50~60대 노년층부터 많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어깨 힘빠짐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나이가 들면서 어깨를 움직이는 근육과 힘줄이 반복되는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 마모 등으로 인하여 파열되는 것인데,

➡골프, 테니스, 배드민턴 등_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스포츠를 즐기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스포츠성 손상이 늘어감에 따라 좀 더젊은 연령층에서도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번 손상된 우리 몸의 관절 조직은 초기 치료 시기를 놓치면 다시 회복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어깨통증이나 어깨 힘빠짐 증상이 나타나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회전근개 파열_증상

 
 

대표적인 증후는 어깨 통증이 있으며, 만성 어깨 통증의 대표적인 요인으로 꼽히는 회전근개파열은 통증 이외에 다양한 증후를 동반합니다. 어깨가 결리는 듯 한 _증후와 함께, 팔을 올릴 때 통증이 더욱더 심해집니다.    또한,  누었을 때_통증이 심해져 잠을 청하기 어려워 수면장애를 일으킵니다.

 

그리고 어깨의 증후가 나타난 부분을 만졌을 때 통증이 심하고. 어깨를 움직일 때 삐걱거리는 소리가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회전근개파열은 자연치유가 불가한 증후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수입니다.

 

 

 


 

 

회전근개 파열_원인

 

 

 

어깨는 관절 중 360도 회전이 가능한 유일한 관절입니다.  그만큼  움직임도 많고, 운동 시 부상을 입기 쉬운 부위입니다.  어깨 통증의 발병 요인으로는 다양하지만 회전근개파열의 경우,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퇴행성 변화가 대표적이며  충격에 의해 외상뿐만 아니라 반복적으로 팔을 과하게 사용하는 직업군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스포츠를 즐기는 분들이 늘어나 자연스럽게 스포츠 외상으로까지 이어 젊은 층의 회전근개파열도 종종 발생하며,

이러한 요인 이외에 교통사고와 낙상사고 등을 통해 발생할 수 있고 어깨의 과한 사용도 회전근개파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회전근개 파열_치료

 

 

 

보존적 치료를 하는 경우,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일상 복귀는 바로가능하며, 사치료나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을 환자분의 증상에 따라 시행 할 수 있습니다.

또한, 2차적인 강직 예방을 위해서 스트레칭을 꾸준히 해주어야하며, 통증이 완화된 경우 남아있는 힘줄 강화를

통한 기능 회복을 위해서 회전근개 강화 운동시행합니다. (저도 8년째 ,계속노력중이죠)

 

회전근개파열 수술을 한 경우

약 4~6주간 보조기 착용을 요하게 되는데, 이 기간에는 수술보조 통증 조절을 위한 약물 치료 및 어깨 주변의 근육 긴장을 완화시켜주는 물리치료 등을 하게 되고, 보조기를 제거한 시점부터 가동 범위 회복을 위한 스트레칭 위주의 본격적인 재활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이 시기부터 단순 사무업무 및 개인위생관리 등 ~ 간단한 팔 사용이 가능하지만  수술 후, 4개월까지는 아직 힘줄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무거운 무게를 이용하는 근력운동은 삼가도록 합니다.  가동 범위가 회복된 경우 정상적인 일상을할 수 있게 되는데 어깨에 부담이 되는활동 및 중량은 점진적으로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증가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회전근개 파열 _예방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술 및 보존적 치료 동일 시,)  충분한 스트레칭과 꾸준한 운동은 필수입니다.

 

어깨 근막과 근육의 경직만 풀어줘도 어깨치료 효과와 유지 기간이 크게 차이 납니다.

교정을 했다고 해서 바로 예전 강도로 운동하면 _어깨통증 은, 다시 시작 될 수 있습니다.

 

균협잡힌 식단으로 신체의 힘을 기르고, 스트레칭과 준비 운동을 반드시 진행한 후에 서서히 운동 강도를 올리며 근육강화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날씨/컨디션에 따라 , 어깨, 등과 목근육이 뻐근하다면

▶ 따뜻한 물로 온욕 및 찜질을 통해 근육이 긴장을 풀수있게, 도와주도록 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어깨통증이 없어도 평소보다 과도한 활동에서는 통증이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에

평상시, 깊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